🧡 애디슨병, 몸이 보내는 SOS 신호
만성 피로, 식욕 저하, 피부 착색… 혹시 애디슨병일 수 있습니다
✅ 애디슨병이란?
애디슨병은 일차성 부신기능 저하증으로, 부신에서 스트레스와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코르티솔과 체내 수분·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알도스테론등의 호르몬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는 질환입니다.
이 병은 서서히 진행되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초기에는 쉽게 간과되기 쉬운 희귀 질환입니다.
그러나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부신 위기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.
🧨 애디슨병의 주요 원인
애디슨병은 부신 자체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 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🔸 자가면역 반응 (가장 흔한 원인)
면역계가 자신의 부신을 공격해 기능을 파괴함 - 🔸 결핵 감염
과거에는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며, 일부 국가에선 여전히 주요 원인 - 🔸 부신 종양 또는 출혈
드물지만 부신 부위의 손상으로 기능 저하 발생 - 🔸 희귀 유전 질환선천성 부신형성 이상 등
❗ 애디슨병의 대표 증상
애디슨병은 호르몬 결핍이 서서히 진행되며 전신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, 다음과 같은 증상이 지속될 경우 반드시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:
- 지속적인 만성 피로감
- 체중 감소 및 식욕 부진
- 기립성 저혈압 (앉았다가 일어날 때 어지러움)
- 메스꺼움, 복통, 설사
- 근육통 및 관절통
- 정신적 무기력, 우울감
- 피부 색소 침착 (특히 팔꿈치, 무릎, 잇몸 등)
-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 또는 탈모
🧠 이러한 증상들은 다른 질환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어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.
🧪 진단 방법
애디슨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호르몬 수치 측정 및 영상 검사가 필요합니다.
- 혈중 코르티솔 및 ACTH 수치 검사
→ 코르티솔이 낮고 ACTH가 높으면 일차성(애디슨병) 의심 - ACTH 자극 검사 (Synacthen test)
→ 부신의 반응성 평가 - 전해질 검사
→ 나트륨 감소, 칼륨 증가 등 전해질 불균형 확인 - 복부 CT 또는 MRI→ 부신 구조적 이상 확인
🩺 치료 방법
애디슨병은 완치보다는 지속적인 호르몬 대체 요법을 통해 정상적인 삶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
🔹 호르몬 보충 요법
- 하이드로코르티손 또는 프레드니솔론: 코르티솔 대체
- 플루드로코르티손: 알도스테론 대체 (필요 시)
🔹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용량 조절
- 감기, 감염, 수술 등 스트레스 상황에선 용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켜야 함
🔹 부신 위기 시 응급 치료
- 정맥 수액 및 고용량 스테로이드 투여
🧼 애디슨병 환자의 일상 관리법
- ✅ 규칙적인 약 복용
- 절대 임의로 중단하지 말고, 정해진 시간에 복용
- ✅ 스트레스 대비 플랜 세우기
- 고열, 감염, 수술 전후에는 의사와 상의 후 복용량 조절
- ✅ 의료 경고 팔찌 착용 권장
- 응급상황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대비
- ✅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균형 잡힌 식사
- 전해질 불균형 방지를 위해 중요
- ✅ 정기적인 혈액 검사 및 내분비내과 진료
- 약물 용량 조절과 건강 상태 점검
📌 애디슨병 vs 부신피로증후군
많은 사람들이 "부신이 피곤하다"는 이유로 부신피로증후군을 걱정하지만, 이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개념입니다.
애디슨병은 명확한 의학적 진단 기준과 치료법이 존재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.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.
📝 마무리하며
애디슨병은 희귀하지만 방치할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하지만 다행히도, 조기에 진단되고 올바르게 관리된다면 평생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.
만성 피로나 어지럼증,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꼭 한 번 내분비내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요로결석, 여름철에 조심해야 할 질환, 옆구리 통증 (0) | 2025.07.11 |
---|---|
일광화상, 자외선차단, 자외선 피부손상, 일사병 (0) | 2025.07.10 |
부신기능 저하증, 애디슨병, 만성피로 (0) | 2025.07.09 |
뇌압 상승 증상 7가지, 뇌질환, 뇌건강 (0) | 2025.07.09 |
뇌압, 뇌압 상승, 두통원인, 뇌질환 (0) | 2025.07.08 |